콘텐츠로 건너뛰기

Google Analytics 4란? 기존 UA와의 차이점 & GA4 도입해야 하는 이유

1. Google Analytics 4란?

Google Analytics 4(GA4)는 구글이 기존 유니버설 애널리틱스(UA)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차세대 웹 분석 도구입니다. GA4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식이 기존 UA와 다르며, 머신러닝을 활용한 인사이트 제공 및 강화된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기존 UA 사용자는 2023년 7월 1일부터 데이터를 더 이상 수집할 수 없기 때문에 GA4로 전환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GA4와 기존 UA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GA4(구글 애널리틱스 4)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2. 구글 애널리틱스의 변천과정

Google Analytics는 2005년 Urchin Software를 인수하면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이후, 2012년에는 유니버설 애널리틱스(UA)로 발전하여 웹사이트 방문자의 행동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UA는 쿠키 기반의 트래킹과 세션 중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웹사이트 방문자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 정책 강화 및 데이터 분석 요구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20년 GA4(Google Analytics 4)가 출시되었습니다. GA4는 기존 UA의 페이지뷰 중심 분석에서 벗어나, 이벤트 기반의 데이터 수집 방식을 채택하여 더 심층적인 사용자 행동 분석이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머신러닝과 AI 기반의 인사이트 제공 기능을 추가하여 예측 분석이 가능하도록 발전하였습니다.

google-analytics-4

3. GA4와 기존 UA(유니버설 애널리틱스)의 차이점 5가지

이번 글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 4와 유니버설 애널리틱스(UA)의 주요 차이점 5가지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새로운 GA4의 핵심 기능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궁금하신 경우에는 “2025 GA4 가이드 | 핵심 기능 & 데이터 분석법(이벤트 측정, 보고서 활용)“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데이터 수집 방식의 변화: 페이지뷰 기반 vs 이벤트 기반

기존 UA: 페이지뷰(Pageview) 기반 분석

기존 UA에서는 웹사이트의 특정 페이지가 로드될 때마다 페이지뷰(Pageview)라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활동을 분석했습니다. 즉, 사용자가 여러 페이지를 이동하면 각 페이지가 하나의 기록으로 저장되었으며, 페이지 간 이동이 없으면 분석할 데이터가 부족했습니다.

예시:

  • 사용자가 홈페이지 > 제품 페이지 > 결제 페이지 순으로 이동하면 3개의 페이지뷰가 기록됨
  • 사용자가 제품 페이지에서 동영상을 보거나 버튼을 클릭해도 추가적인 데이터는 수집되지 않음

GA4(Google Analytics 4): 이벤트(Event) 기반 분석

GA4는 페이지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행동(예: 버튼 클릭, 동영상 재생, 스크롤, 제품 구매 등)을 이벤트(Event)로 기록합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패턴을 더 세밀하게 추적할 수 있어 분석의 정밀도가 높아집니다.

예시:

  • 사용자가 홈페이지 > 제품 페이지 > 결제 페이지 순으로 이동하면 3개의 이벤트 기록됨
  • 추가적으로 버튼 클릭, 동영상 시청, 스크롤 움직임, 장바구니 추가 등의 데이터도 개별 이벤트로 기록됨

2) 전환 추적의 변화

GA4는 전환(Conversion) 추적 방식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기존 UA에서는 목표(Goals) 기반의 전환 추적 방식을 사용하여 특정 페이지 방문, 클릭, 세션 지속 시간 등을 기준으로 전환을 측정했습니다. 그러나 GA4에서는 이벤트 기반의 전환 추적 방식을 채택하여, 더 유연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GA4 전환 추적 주요 변화:

  • UA에서는 목표(Goals) 설정이 필수였으나, GA4에서는 모든 이벤트를 전환으로 설정 가능
  • 페이지뷰 기반이 아닌 이벤트 기반으로 전환이 정의됨
  • GA4에서는 전환 데이터를 유입 경로와 연결하여 더욱 정밀한 분석이 가능
  • 다채널 퍼널 분석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어떤 경로로 전환에 도달했는지 확인 가능

이러한 변화로 인해 GA4를 활용하면 기존보다 더욱 정확한 전환율 분석과 사용자 행동 추적이 가능합니다.

3) GA4(구글 애널리틱스 4)와 UA 기능 비교

기능기존 UAGA4GA4 개선점
페이지뷰 기반 데이터 수집OX이벤트 기반 추적으로 더 정밀한 분석 가능
이벤트 기반 데이터 수집XO버튼 클릭, 스크롤, 동영상 재생 등 사용자 행동 분석 강화
쿠키 사용OX (AI 모델링 적용)개인정보 보호 강화, 쿠키 없는 데이터 수집 가능
머신러닝 기반 인사이트 제공XOAI 기반 데이터 분석으로 사용자 행동 예측 가능
사용자 여정 분석제한적상세 분석 가능전체적인 사용자 흐름 및 전환율 분석 최적화
유입 경로 분석기본 제공AI 기반 분석 가능트래픽 소스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하고 예측 가능
보고서 기능제한적(고정된 보고서)맞춤형 보고서 제공데이터 분석이 더욱 자유로워지고 맞춤형 리포트 가능

4) 쿠키 정책 변화 및 GA4의 대응 방식

기존 UA: 쿠키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기존 UA는 브라우저 쿠키(Cookie)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추적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개인정보 보호 규제가 강화되면서, 많은 웹사이트와 브라우저가 쿠키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 UA는 정확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예시:

  • 사용자가 쿠키를 차단하면 방문자가 사이트에 머문 기록이 저장되지 않음
  • 특정 브라우저(예: 사파리, 파이어폭스)에서 쿠키 제한으로 인해 방문자 추적이 어려워짐

GA4: AI 기반 데이터 모델링 적용

GA4(구글 애널리틱스 4)는 쿠키 사용이 제한되는 환경에서도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AI 기반 데이터 모델링을 활용합니다. 즉, 일부 데이터가 부족하더라도 머신러닝을 통해 사용자 행동을 예측하고 보완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신뢰성 높은 분석이 가능합니다.

예시:

  • 쿠키가 차단된 경우에도 머신러닝을 활용해 예상 방문자 수치를 제공
  • 동일 사용자의 여러 디바이스 접속을 AI 모델링을 통해 추적 가능

5) 사용자 여정 분석의 변화

기존 UA에서는 개별 세션과 페이지뷰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행동을 추적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사용자 전체 여정을 분석하는 것이 제한적이었습니다.

반면, GA4에서는 이벤트 기반의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여러 접점과 행동 패턴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GA4 사용자 여정 분석 주요 개선점:

  • 크로스 플랫폼 추적 가능: 웹과 앱을 통합하여 사용자의 전체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음
  • 퍼널(Funnel) 분석 강화: 사용자의 구매 여정을 단계별로 분석하여 전환률을 최적화할 수 있음
  • 경로 탐색(Path Exploration) 기능 추가: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어떻게 이동하는지 시각적으로 분석 가능
  • 데이터 드리븐 어트리뷰션(Data-driven Attribution) 적용: 전환에 기여한 여러 채널을 평가하여 광고 성과를 최적화할 수 있음

이러한 변화로 인해 GA4(구글 애널리틱스 4)는 기존 UA보다 더욱 심층적인 사용자 행동 분석을 지원하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6) 유입 경로 분석의 변화

기존 UA에서는 트래픽 소스를 단순한 채널(예: 유료 검색, 직접 방문, 추천 등)로만 분류하여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GA4에서는 AI 기반 모델링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입 경로를 분석할 수 있으며, 개별 사용자 여정과 결합하여 더욱 세밀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GA4 유입 경로 분석 주요 개선점:

  • 멀티 터치 어트리뷰션(Multi-Touch Attribution) 강화: 여러 채널을 통해 전환에 기여한 역할을 평가 가능
  • 데이터 기반 어트리뷰션(Data-driven Attribution) 적용: 특정 유입 경로가 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 가능
  • 세그먼트 및 맞춤 필터 지원: 특정 캠페인 또는 특정 유입 소스에 대한 세부적인 데이터 필터링 가능
  • GA4 탐색 기능 활용 가능: 사용자 경로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여 더욱 직관적인 이해 가능

이러한 기능을 통해 GA4(google analytics 4)는 기존 UA보다 더욱 심층적인 유입 경로 분석을 지원하며, 마케팅 최적화를 위한 보다 정확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7) 맞춤형 보고서 기능 강화

Google Analytics 4(GA4)는 기존 UA보다 훨씬 유연한 맞춤형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GA4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인공지능 학습)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기존 UA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보고서를 설정하고 해석해야 했지만, GA4에서는 데이터를 분석한 후 자동으로 트렌드를 감지하고, 사용자 행동을 예측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GA4(구글 애널리틱스 4) 맞춤형 보고서 주요 기능:

  • 탐색(Exploration) 기능: 기존 UA에서는 불가능했던 다차원 분석 및 시각화를 지원하여 사용자 흐름을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
  • 맞춤형 대시보드 구성: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분석 대시보드를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가능
  • 자동 인사이트 제공: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이탈 가능성을 감지하고, 광고 성과를 예측하여 최적화 전략을 제시
  • 세그먼트 및 필터링 기능 강화: 특정 이벤트나 유입 경로를 기반으로 보다 정밀한 보고서 작성 가능

예를 들어, GA4는 특정 사용자의 이탈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점을 감지하여 미리 경고해 줄 수 있으며, 광고 캠페인 성과를 예측하여 마케팅 전략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결론 – GA4(구글 애널리틱스 4) 도입이 필수적인 이유

기존 UA는 2023년 7월 1일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기 때문에 GA4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GA4는 이벤트 기반 데이터 모델, AI를 활용한 인사이트 제공, 맞춤형 보고서 기능 강화, 크로스 플랫폼 분석 등 기존 UA보다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GA4의 데이터 드리븐 어트리뷰션(Data-driven Attribution), 퍼널 분석, 경로 탐색 기능은 마케팅과 사용자 경험 최적화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또한, GA4는 쿠키 없는 환경에서도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여, 변화하는 개인정보 보호 규제에도 대응할 수 있습니다.

GA4 전환 시 고려해야 할 점:

  • 기존 UA 데이터를 BigQuery 또는 외부 데이터 저장소에 백업
  • GA4의 이벤트 기반 모델을 이해하고 적절한 전환 설정 및 이벤트 설계
  • Google 태그 매니저(GTM)를 활용한 데이터 추적 최적화

기업과 웹사이트 운영자는 GA4의 주요 기능을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강화하고, 더욱 정밀한 사용자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바로 GA4를 설정하여 웹사이트 분석 환경을 최적화하세요!

5. FAQ (GA4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GA4로 전환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2023년 7월 1일부터 기존 UA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GA4를 설정하지 않으면 웹사이트 방문자 및 전환 데이터를 추적할 수 없게 됩니다.

Q2. Google Analytics 4는 무료인가요?

네, GA4는 기존 UA와 마찬가지로 무료로 제공됩니다. 하지만 BigQuery 연동을 통한 데이터 저장 및 추가 분석 기능을 활용할 경우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3. 기존 UA 데이터를 Google Analytics 4에서 볼 수 있나요?

아니요, 기존 UA 데이터는 GA4에서 직접 조회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존 데이터를 보존하려면 BigQuery 또는 외부 데이터 저장소에 UA(유니버설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백업해야 합니다.

Q4. GA4 설정이 어렵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구글에서 제공하는 GA4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를 참고하거나, Google 태그 매니저(GTM)를 활용하여 손쉽게 GA4 추적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