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table 레코드 입력ㆍ수정ㆍ삭제하는 방법을 쉽고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는 Airtable 기본 조작법을 확인하세요.
이전 글과의 연결: Airtable 필드 타입 완벽 가이드
이전 글에서 Airtable 필드 타입과 레코드 구조를 익히셨다면, 이번에는 실제로 데이터를 입력ㆍ수정ㆍ삭제하는 방법을 실습해보겠습니다.
Airtable 레코드는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이 섹션에서 독자가 얻게 될 핵심 내용: Airtable의 레코드 개념을 이해하고, 데이터 구조에서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레코드(Record)는 Airtable에서 하나의 데이터 단위를 의미하며, 테이블의 행(Row)에 해당합니다.
각 레코드는 이름, 날짜, 체크박스 등 필드(Field)를 조합하여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고객 관리 테이블에서는 각 고객 한 명이 하나의 레코드입니다. 이름, 연락처, 가입일 등 필드 값을 포함하죠.
Airtable 레코드 입력, 수정, 삭제하는 방법
이 섹션에서 독자가 얻게 될 핵심 내용: 웹 인터페이스 기준으로 레코드를 다루는 3가지 기본 작업을 익힐 수 있습니다.
레코드 입력 – 새로운 항목 추가하는 방법
테이블 우측 하단에 위치한 “+ New record” 버튼을 클릭하면 새 레코드가 생성됩니다.
각 필드에 직접 내용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예:
- 이름: 김유진
- 이메일: hello@example.com
- 가입일: 2025-06-13
레코드 수정 – 기존 정보 변경하기
수정하고 싶은 셀을 클릭한 뒤, 내용을 직접 수정하면 됩니다. 변경 사항은 자동 저장되므로 별도의 저장 버튼은 필요하지 않아요.
레코드 삭제 – 더 이상 필요 없는 데이터 제거
삭제하려는 행의 좌측 번호를 클릭 →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Delete record” 선택
주의: 삭제된 레코드는 Ctrl+Z / Cmd+Z로 바로 되돌릴 수 있지만, 오래 지난 삭제는 복구가 어려울 수 있어요.
실습 예제 – 간단한 작업 테이블에서 실전 적용하기
이 섹션에서 독자가 얻게 될 핵심 내용: TO-DO 리스트 테이블을 직접 만들어 보며 입력, 수정, 삭제 기능을 연습합니다.
아래는 예시 테이블입니다:
작업 항목 | 마감일 | 담당자 | 상태 |
---|---|---|---|
블로그 작성 | 2025-06-13 | 김유진 | 진행 중 |
🛠️ 실습 순서
- ① 새 레코드 생성 (우측 + 버튼 클릭)
- ② 작업 항목에 “블로그 작성” 입력
- ③ 마감일, 담당자 필드도 각각 입력
- ④ 상태 필드를 “진행 중”으로 설정
- ⑤ 테스트 후, 행 우클릭 → Delete로 삭제 연습
자주 묻는 질문 및 실전 활용 팁 모음 (FAQ)
이 섹션에서 독자가 얻게 될 핵심 내용: 초보자가 자주 겪는 문제와 유용한 기능을 소개합니다.
실수로 잘못 입력했을 땐 어떻게 복구하나요?
입력 직후에는 Ctrl+Z / Cmd+Z로 되돌릴 수 있어요. 또는 메뉴 상단의 Edit → Undo 기능을 사용하세요. Pro 요금제 이상이라면 Revision History 기능으로 이전 상태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다량의 레코드를 한 번에 입력하고 싶을 땐?
복수 행을 Excel에서 복사 → Airtable에 붙여넣으면 자동으로 여러 레코드가 생성됩니다.
또는 CSV 파일 업로드 기능을 활용해 일괄 등록도 가능해요.
요약 정리 및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이 섹션에서 독자가 얻게 될 핵심 내용: 핵심 내용을 다시 정리하고, 다음 학습 주제를 소개합니다.
핵심 요약 – Airtable 레코드 조작 3단계
- ✔️ 입력: + 버튼 클릭 후 필드별 직접 입력
- ✔️ 수정: 셀 클릭 후 값 변경 → 자동 저장
- ✔️ 삭제: 행 우클릭 → Delete 선택
다음 글에서는 “Grid, Calendar 등 다양한 뷰(View) 설정”을 다룹니다. 각 뷰의 특징과 활용 시점을 함께 배워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