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사업자 사장님들께 도움이 되고자 개인사업자용 직원(알바) 월급 계산 서식(세전 계산기)을 공유합니다.
이번에 공유하는 서식은 세전 계산기 서식으로 세전 월급여를 입력하면 실제 지급되는 급여를 계산할 수 있는 서식입니다.
따라서 사장님들이 직원(알바)에게 얼마의 급여를 지급하고 세금으로 얼마를 신고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서식입니다.
해당 서식에서는 4대보험 외 지방소득세, 근로소득세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제일 하단에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를 남겨놓았습니다. 해당 파일을 다운 받으신 후 천천히 글을 읽으시면서 따라하시면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세전 계산기 직원(알바) 월급 계산 서식에 대해소개해드리겠습니다.

세전 월급 계산기 – 직원 & 알바 급여 자동 계산
이번에 공유하는 월급 계산 서식은 엑셀로 작성한 서식 파일입니다. 파일은 1개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사장님들께서 직원들을 채용하고 급여를 책정한 후 실제로 직원들에게 지급해야 하는 급여가 얼마인지 계산하는 서식입니다.
이 서식은 월 급여를 250만원으로 책정하여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직원이 4대보험을 가입했다면 실제로 얼마를 지급해야 하는지, 그리고 세금으로 얼마를 신고해서 납부해야 하는지 계산할 수 있는 서식입니다.
근무 시간표 설정 – 급여 계산 전 필수 단계
서식 파일을 열고 해당 시트를 보시면 가장 먼저 근무 시간표가 확인됩니다.
근무 시간은 12시간, 6시간, 3시간, 휴무, 결근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이 근무 시간표는 매장 또는 사업장의 근무시간에 따라 수정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풀타임 근무 시간이 9시간(휴게시간 1시간 포함)인 경우 A항목을 A : 풀타임(9시간) 이런 식으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해당 표에는 함수(서식)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아래 스케쥴표에 기록할 A, B 등을 구분하여 보기 위한 표입니다.
직원 및 알바 명단 작성법 (근무자 리스트 활용)
월급 계산 서식에서 본격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부분은 근무자 리스트 영역부터 입니다.

해당 부분부터는 서식에 포함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설명을 잘 읽어보시고 아래 방법대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근무자 셀에는 실제 근무하는 직원(알바)의 이름을 작성합니다.
- 4대보험 가입 여부를 ‘O’ 또는 ‘X’ 중 선택합니다.
- 급여(1)에는 책정된 월 급여(세전 급여) 금액을 기록합니다.
- 기본급(2)에는 근로계약서 상에 작성된 기본급을 기록합니다.
이 때 주의사항은 4대보험 가입여부를 선택할 때 직접 입력하지 마시고 목록에서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급여는 세후 급여를 계산하여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세전 급여를 그대로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기본급(2)에 작성하는 기본급은 근로계약서 작성 시 수당을 제외하고 기록한 기본급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월급 계산 서식(세전 계산기)에서 실제 세후 급여 계산 시 위 근무자 리스트에 작성된 급여와 기본급을 기준으로 4대보험, 근로소득세 등이 계산되기 때문에 근무자 리스트 영역을 작성할 때 정확하게 기록해주어야 합니다.
스케줄표 작성법 – 근무 일정 & 급여 자동 반영
월급 계산 서식(세전 계산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스케쥴표 작성 부분입니다.
스케쥴표 상 휴무를 표시하지만 실제로는 유급휴무이기에 월급 계산 시 근무한 것처럼 처리하게 서식을 넣었습니다.
따라서 휴무와 결근을 구분하여야 휴무일 외 결근 발생 시 급여 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스케쥴표 작성 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해당 월의 일자와 요일을 맞추는 것입니다.
- ‘근무일’을 작성하는 월 기준으로 변경해줍니다. (2월의 경우 28일 또는 29일까지로 수정)
- 해당 일자에 맞는 요일로 수정하여 줍니다.
스케쥴표 작성 시 주의 사항은 위에 기록했던 근무 시간표를 기준해서 작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홍길동’ 이라는 직원이 주 5일 풀타임 근무를 했다면 ‘A’ 또는 ‘a’를 근무일에 입력합니다.
풀타임이 아닌 하프타임 근무라면 ‘B’ 또는 ‘b’를 입력해주고, 휴무가 아닌 결근이 발생했을 경우 해당일에 ‘결’이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두 번째 주의 사항은 근무자의 이름입니다. 위의 근무자 리스트에 작성한 근무자의 이름과 동일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근무자 리스트 기준 동일한 이름이 기록되어야 월급 계산표에 해당 직원(알바)에 대한 정확한 급여 계산이 됩니다.
이 스케쥴표는 단순 월급 계산 외에 실제 요일별 근무인원 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식당이나 매장을 운영하시는 경우 바쁜 시간대에 몇 명의 인원을 구성해두어야 하는지 판단이 어려울 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월급 실수령액 계산 – 세전 vs 세후 급여 비교
위의 모든 항목들을 작성해주셨다면 아래 월급 계산표에서는 근무자의 이름을 작성해주면 됩니다.
근무자의 이름을 근무자 리스트, 스케쥴표와 모두 동일하게 작성이 되었다면 자동으로 실급여가 계산됩니다.

근무자 리스트 기준으로 4대보험 가입자는 4대보험 가입자 표에 근무자 이름을 기록하고, 4대보험 미가입자는 미가입자 표에 이름을 기록해주면 됩니다.
4대보험 가입자의 경우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외에 소득세, 지방소득세 계산이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두 번째 시트인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참고하셔서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기록해주시면 됩니다.
4대보험 미가입자 급여 계산은 3.3% 근로소득세만 공제하면 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기록하실 내용은 없습니다.

무료 세전 계산기 엑셀 다운로드 & 사용법 요약
이번에 공유해드리는 월급계산표(세전 계산기)의 가장 큰 장점은 사장님(사업주)이 해당 직원에 대해 얼마의 4대보험을 납부해야 하는지 계산해준다는 것입니다.
이 서식을 활용하시면 직원 스케쥴 관리 및 급여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