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부가세 계산기

합계금액으로 부가가치세 계산

합계금액
공급가액
부가세액

공급가액으로 부가가치세 계산

공급가액
합계금액
부가세액
1원 10원
반올림 내림
%

한눈에 이해하는 부가가치세(VAT)의 모든 것

정의

상품(재화)이나 서비스(용역)가 생산·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생성되는 부가가치(마진)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핵심 특징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지만, 사업자가 대신 거래 시점에 징수하여 국가에 납부하는 간접세입니다.

기본 세율

대한민국 표준 세율은 10%입니다. (일부 면세 품목 제외)

부가세 계산 흐름

소비자

물건값+부가세 지불

사업자

매출세액-매입세액 차액 계산

국세청

신고 및 납부

사업자가 꼭 알아야 할 부가세 대표 FAQ

Q.

공급가액과 합계금액은 무엇이 다른가요?

A.

공급가액은 부가세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상품/서비스 가격이며, 합계금액은 공급가액에 부가세 10%가 더해진 최종 결제 금액입니다. (합계금액 = 공급가액 + 부가세)

Q.

모든 사업자가 부가세를 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연 매출 8,000만원 미만인 간이과세자는 낮은 세율(업종별 1.5%~4.0%)이 적용되며, 농축수산물이나 의료보건 용역 등 면세 사업자는 부가세 납부 의무가 없습니다.

Q.

부가세 신고는 언제, 어떻게 하나요?

A.

법인사업자는 1년에 4번(4월, 7월, 10월, 다음 해 1월), 개인 일반과세자는 1년에 2번(7월, 다음 해 1월)에 홈택스를 통해 신고 및 납부합니다.

Q.

세금계산서는 왜 중요한가요?

A.

사업자가 물건을 구매하며 지불한 부가세(매입세액)를 공제받기 위한 필수 증빙 서류입니다. 세금계산서가 없으면 매입세액 공제를 받지 못해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될 수 있습니다.

부가세 절세를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헷갈리는 부가세 용어, 이것만 알면 끝!

매출세액 내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팔고 소비자로부터 받은 부가세.
매입세액 내가 사업을 위해 원재료나 비품을 사면서 지불한 부가세.
납부세액 내가 내야 할 최종 부가세.
(계산식: 매출세액 – 매입세액)
과세표준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이 되는 금액으로, 보통 공급가액을 의미합니다.
영세율 수출하는 재화 등에 적용되는 0% 세율. 부가세는 없지만 매입세액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i

정확한 내용은 홈택스 또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