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년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제외 대상 완벽 가이드! 신청 조건 & 심사 기준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중 일정 소득 및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받을 수 있는 국가 지원 연금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연령이 충족된다고 자동으로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소득 평가, 재산 평가 등 다양한 기준을 통과해야 수급이 가능합니다.

보건복지부는 매년 기준을 조정하며, 자격 심사 과정도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격 요건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초연금 지급 방식과 통장 관련 정보는 기초연금 통장 필수 가이드에서 확인하세요.

2025년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준

기초연금 수급을 위해서는 연령 요건, 소득 기준, 재산 평가 등 다양한 심사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연령 요건

  • 신청일 기준 만 65세 이상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국내 거주자

소득 기준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급자격
  • 단독가구: 월 2,280,000원 이하
  • 부부가구: 월 3,648,000원 이하
  • 국민연금 수급자의 경우, 국민연금 지급액에 따라 감액될 수 있음

재산 평가 기준

  • 거주 주택, 예금, 금융자산 등을 합산하여 심사
  • 기준 초과 시 지급액 일부 감액 또는 지급 불가 가능
  • 거주 지역에 따라 일부 조정 가능 (예: 대도시 vs 농촌 지역 차이)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제외 대상

기초연금은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으며, 다음 대상자는 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재외국민 주민등록자

  • 재외국민은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외국 영주권을 취득하거나 영주 목적으로 외국에 거주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 국내 거주 목적 없이 재외국민 주민등록만 되어 있는 경우 기초연금 수급이 불가능합니다.

직역연금 가입자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별정우체국연금 등)

  • 원칙적으로 직역연금 수급자는 기초연금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 다만, 특정 항목에 한해 기초연금이 지급될 수 있습니다.
직역연금 종류
직역연금 종류
직역연금

직역연금 종류별 기초연금 수급 가능 항목

직역연금 종류기초연금 수급 가능 항목
공무원연금퇴직일시금, 퇴직유족연금부가금, 재난부조금, 사망조위금 등
사립학교 교직원연금퇴직일시금, 퇴직유족연금부가금, 재해부조금, 사망조위금 등
군인연금유족연금부가금, 유족일시금, 장애보상금, 사망조위금 등
별정우체국 직원연금퇴직일시금, 유족연금부가금, 재해부조금, 사망조위금 등

조건부 기초연금 수급 대상

  • 퇴직유족일시금(공무원재해보상법,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 군인연금법 등 해당 조항 기준)
  • 장해일시금 (수령 후 5년 경과 시 기초연금 수급 가능)
  • 유족연금일시금 (유족연금 대신 선택하여 받은 경우, 5년 경과 시 가능)

예외적으로 기초연금 수급이 가능한 대상자

  • 직역 재직기간이 10년 미만인 국민연금과 연계한 연계퇴직연금 또는 연계퇴직유족연금 수급권자 및 배우자
  • 장해보상금, 유족연금일시금, 유족일시금(유족연금 대신 받은 경우)을 받은 이후 5년이 경과한 수급권자 및 배우자
  • 2014년 6월 30일 당시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 기초연금법 시행 당시 장애인연금 특례수급자였던 자가 만 65세에 도달하여 기초연금 특례대상자로 전환된 경우

최종 요약 – 기초연금 수급자격 체크리스트

✔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 소득 기준 충족 (단독가구 2,280,000원 / 부부가구 3,648,000원 이하)
✔ 부동산, 금융자산 등 재산 평가 기준 통과
✔ 국내 거주자
✔ 직역연금 수급자가 아닐 것 (일부 예외 존재)
✔ 신청 후 소득 및 재산 심사 과정을 거쳐 최종 지급 결정
✔ 예외적으로 기초연금이 지급되는 직역연금 수급 대상 여부 확인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보건복지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