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구글 애널리틱스(GA4)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구글 애널리틱스(GA4)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구글 애널리틱스

구글 애널리틱스(GA, Google Analytics)는 웹 또는 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로서 디지털 마케팅을 진행하는 사람들에게는 필수인 분석 도구이자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현재 GA4버전으로 2023년 8월부터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A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소개하고 GA와 함께 사용했을 때 좋은 도구(Tools)들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개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구글 애널리틱스는 웹 사이트(Web Site)와 앱(App)의 유입(Traffic)을 추척하고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GA는 어친(Urchine) 애널리틱스(Analytics)가 모태로, 2005년 구글이 어친 애널리틱스를 인수하면서 데이터 분석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개선하고 추가하면서 지금의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다양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는 웹/앱 분석 도구가 바로 구글 애널리틱스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장점과 특징을 간단하게 소개해보겠습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GA는 번거로운 소프트웨어 설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GA4는 무료 버전으로 출시되어 사용 가능합니다.

무료 버전이라고 하지만 GA4 버전의 기능은 유료 서비스로 제공되는 다른 분석 도구들과 비교해 데이터 분석을 위한 핵심적인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필요한 기능들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중심 고객 데이터 측정 및 분석

GA는 전자상거래에 최적화되어 고객 데이터 측정 및 분석을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단순히 유입 경로나 사용자의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웹 사이트 또는 앱으로 접속한 고객들의 행동까지도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를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추적한 데이터를 다양한 분석 보고서를 통해 분석가로 하여금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중 퍼널 분석(Funnel Analysis)기능은 웹 사이트 내에서 고객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웹사이트에 들어온 고객의 흐름을 파악하여 데이터를 정리하고 있으며, 쇼핑몰을 운영하는 분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분석 기능은 쇼핑몰 내에서의 고객 행동 데이터를 집중 분석하여 매출 향상, 브랜드 인지도 향상 등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쉽고 편한 협업 서비스

GA의 사용 방법, 즉 유저 인터페이스는 매우 직관적이고 누구나 사용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GA)에서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주요 분석 보고서들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분석하고자 하는 조건을 적용하여 쉽게 보고서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공하는 기본 보고서 외에 분석가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 보고서를 직접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GA의 장점 중 하나는 여러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협업 서비스라는 점입니다.

한 사람만이 아닌 여러 분석가들과 함께 협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읽기, 편집 등 권한을 차등으로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구글 마케팅 플랫폼을 활용한 확장성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는 구글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이 서비스를 통합하여 구글 마케팅 플랫폼(Google Marketing Platform)이라고 합니다.

구글 태그 관리자(Google Tag Manager), 구글 최적화도구(Google Optimize) 등의 도구 뿐만 아니라 구글 크롬, 지메일, 구글 드라이브, 구글 스프레드시트 등의 서비스와도 연동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GA는 단순한 웹, 앱 분석 도구가 아닌 통합 분석 도구로서 사용 가능한 확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